6·25전쟁 국군전사자 630구 합동 봉안식 거행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6·25전쟁 국군전사자 630구 합동 봉안식 거행

호국영웅이여, 조국의 품에서 편히 잠드소서

합동봉안식.jpg




장병 10만명 투입, DMZ 화살머리고지 등 47개 전투지역서 발굴


국방부는 12월 18일(수)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임석한 가운데 6·25전쟁 국군전사자 630구에 대한 합동 봉안식을 거행했다.


이날 봉안식은 유해발굴 추진 경과보고,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 영현봉송 순으로 진행되며,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정경두 국방부장관, 각 군 총장, 경찰청장과 보훈단체대표 등 35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 봉안되는 630구의 국군전사자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육군 및 해병대 31개 사․여단급 부대가 지난 3월부터 11월말까지 DMZ 화살머리고지를 비롯해 경기도 파주·연천, 강원도 인제 등 전후방 각지에서 발굴한 유해다.


특히, 올해에는 남북이 ‘9ㆍ19군사합의’를 통해 남북공동유해 발굴사업을 추진에 합의함에 따라 최초로 비무장지대인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260여 구를 발굴했다.


합동봉안식 이후, 국군전사자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중앙감식소(유해보존실)에 모셔져 신원확인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신원이 확인되어 올해 가족의 품으로 모신 호국영웅은 강원도 철원의 DMZ 화살머리고지에서 전사한 고 박재권 이등중사를 비롯해 8명이다.


국방부는 6·25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을 지난 2000년 4월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처음 시작하여 올해 발굴한 630구를 포함하여 1만여 구를 수습하였다.


참전 장병의 유전자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미군과 달리 6·25전쟁 당시 우리 군은 이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해 6·25 전사자 유가족 유전자 확보가 매우 중요하나, 현재까지 확보된 유가족 유전자는 5만여 개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6·25전쟁 전사자의 유해발굴과 신원확인율을 높이기 위해 관계부처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홍보를 강화하는 등 유가족 유전자를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국방부는 내년이 6·25전쟁 70주년임을 고려, 유해발굴 사업을 한층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등 미수습 6·25 전사자 마지막 한 분까지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한 ‘국가 무한책임’의 소명을 지속적으로 완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국방부는 올해 화살머리고지에서 260여 구의 유해를 발굴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0년에도 비무장지대(DMZ) 내에서의 유해발굴작업을 지속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남북 및 북미관계 진전상황과 연계하여 ‘9·19 군사합의’에 명시된 남북공동유해발굴에 북측이 동참하도록 노력하는 가운데, 언제라도 공동유해발굴작업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나아가 비무장지대 전역으로 유해발굴작업을 확대하여, 오랜기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6·25전쟁 전사자 유해가 가족과 조국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밝혔다.


<시사상조신문(www.sisasangjo.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