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죽음을 이어주는 ‘상여소리’(喪輿소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삶과 죽음을 이어주는 ‘상여소리’(喪輿소리)

상여소리는 장례의식에 따르는 노래

‘상여소리’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다. 이러한 상여소리는 만가(輓歌)·향도가·향두가(香頭歌)·행상소리·회심곡(回心曲)·옥설개·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사회적으로 천시를 받던 사람들이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상두도가를 중심으로 직업화된 사람들에 의해서 불렸지만, 지금은 보통 불리지 않고 있다.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단위로 마을사람들이 서로 협동해서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이 노래를 불렀고, 현재도 불리고 있다. 노래말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비슷한 내용의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도 적지 않다.
 
메기는 소리에는 보통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내 집앞이 북망일세”,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오실 날이나 일러 주오” 등과 같은 노래말이 많이 쓰인다. 받는 소리는 “너허 너허 너화너 너이가지 넘자 너화 너” 혹은 “에헤 에헤에에 너화 넘자 너화 너” 등의 노래말이 많이 사용된다.
 
때로는 처음의 느린 부분에 “관세음보살”·“관암보살”·“나무아미타불”·“나무할미타불” 등과 같은 불가(佛家)의 노래말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목소리, 즉 ‘초성’ 좋고 노래말은 잘 외우는 ‘문서’ 있는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고, 상여를 멘 여러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초경(初更)·중경(中更)·종경(終更)으로 나누어 예행 연습을 하면서 부를 때는 ‘장맞이’ 혹은 ‘말메이는 소리’라고도 한다. 앞소리를 부르고 요령을 잡았다 하여 ‘요령잡이’라고도 불리는 선창자는 요령을 흔들면서 애처로운 소리로 앞소리를 한다.

앞소리의 노래말은 유(儒)·불(佛)·선(仙)적인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이 세 가지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고사(故事)를 인용하고 있다. 또한, 삼강오륜의 도덕성 확립을 위한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출상 순서에 따라 서창(序唱)소리·행상(行喪)소리·자진상여소리·달구소리로 나누어진다.
 
 
서창은 24∼32인으로 구성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죽은 이의 혼이 집을 떠나기 서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느리게 부르는 부분이다.
 
행상소리는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자진상여소리는 묘지에 거의 다 와서 산으로 올라가면서 부르는 소리이고, 달구소리는 하관 뒤에 무덤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장례의식과 상여를 메고 운반하며, 또 땅을 다지는 노동의 기능이 복합되어 있어, 의식요이면서도 노동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흔히 각 지역의 음악적 특성을 언덕 하나만 넘거나 냇가 하나만 건너도 다르다고 이야기하지만, 다르다는 의미가 지방의 사투리에 따라 노래말이 다르다는 뜻인지, 노래의 가락이 다르다는 뜻인지 불분명하다.
 
그러나 노래말의 적지 않은 부분이 비슷한 내용이고, 선율의 골격도 전라도외 경상도·강원도·충청도 등 지역간의 차이가 별로 없다. 선율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에 의한다면, 대개 미·솔·라·시·도·레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것으로는 경상도 일부지역에서 회심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소리는 문학적인 면의 서사민요에 속하는 긴 노래말로 되어 있기도 하나, 선율은 지루하리만큼 슬픈 선율을 반복 사용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공주지방에서는 혼자 메기지 않고 4인의 합창으로 메기고, 이어서 모두가 받는 짝타령의 모습도 보이고 있다.
 
이 처럼 상여소리는 장례의식에 따르는 노래이다. ‘상여’란 망자(亡者)를 묘지까지 운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보통 10여명 내외의 청장년 남자들이 메고 장지(葬地)까지 간다. 이때는 여러 사람이 발걸음을 제대로 맞추어야 하는데 상여소리는 기능적으로 여러 상여꾼들이 발을 맞출 수 있게 도와준다.
 
먼저 선창자가 한 절을 부르면 상여를 메는 상여꾼들은 후렴구에 해당하는 뒷소리를 받는데, 뒷소리는 매번 같은 구절을 반복하는 지역도 있고, 선창자가 부른 사설의 대구를 이어 부르는 지역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여소리는 평지를 갈 때 부르는 소리, 가파른 언덕이나 산길을 올라갈 때 부르는 소리, 묘지에 당도하여 망자를 안장하고 무덤의 봉분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 등이 있는데 상여소리의 주종은 느리게 부르는 ‘긴소리’와 빠른 템포로 부르는 ‘자진소리’로 구분된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긴소리와 자진소리의 변형도 있다.
 
상여소리의 사설은 주로 사람이 태어나 죽는 자연섭리와 인생무상, 망자와의 이별을 슬퍼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망자의 가족을 위로하는 내용도 들어 있고, 효도를 권하는 사설도 적지 않다. 상여소리는 각 지역의 음악성을 가장 강하게 간직한 토속민요라고 볼 수 있다.
 
‘상여소리’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다. 이러한 상여소리는 만가(輓歌)·향도가·향두가(香頭歌)·행상소리·회심곡(回心曲)·옥설개·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사회적으로 천시를 받던 사람들이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상두도가를 중심으로 직업화된 사람들에 의해서 불렸지만, 지금은 보통 불리지 않고 있다.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단위로 마을사람들이 서로 협동해서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이 노래를 불렀고, 현재도 불리고 있다.
 
 
노래말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비슷한 내용의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도 적지 않다. 메기는 소리에는 보통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내 집앞이 북망일세”,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오실 날이나 일러 주오” 등과 같은 노래말이 많이 쓰인다. 받는 소리는 “너허 너허 너화너 너이가지 넘자 너화 너” 혹은 “에헤 에헤에에 너화 넘자 너화 너” 등의 노래말이 많이 사용된다.
 
때로는 처음의 느린 부분에 “관세음보살”·“관암보살”·“나무아미타불”·“나무할미타불” 등과 같은 불가(佛家)의 노래말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목소리, 즉 ‘초성’ 좋고 노래말은 잘 외우는 ‘문서’ 있는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고, 상여를 멘 여러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초경(初更)·중경(中更)·종경(終更)으로 나누어 예행 연습을 하면서 부를 때는 ‘장맞이’ 혹은 ‘말메이는 소리’라고도 한다. 앞소리를 부르고 요령을 잡았다 하여 ‘요령잡이’라고도 불리는 선창자는 요령을 흔들면서 애처로운 소리로 앞소리를 한다.
 
앞소리의 노래말은 유(儒)·불(佛)·선(仙)적인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이 세 가지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고사(故事)를 인용하고 있다. 또한, 삼강오륜의 도덕성 확립을 위한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출상 순서에 따라 서창(序唱)소리·행상(行喪)소리·자진상여소리·달구소리로 나누어진다.
 
 
서창은 24∼32인으로 구성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죽은 이의 혼이 집을 떠나기 서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느리게 부르는 부분이다.
 
 
행상소리는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자진상여소리는 묘지에 거의 다 와서 산으로 올라가면서 부르는 소리이고, 달구소리는 하관 뒤에 무덤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장례의식과 상여를 메고 운반하며, 또 땅을 다지는 노동의 기능이 복합되어 있어, 의식요이면서도 노동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흔히 각 지역의 음악적 특성을 언덕 하나만 넘거나 냇가 하나만 건너도 다르다고 이야기하지만, 다르다는 의미가 지방의 사투리에 따라 노래말이 다르다는 뜻인지, 노래의 가락이 다르다는 뜻인지 불분명하다.
 
 
그러나 노래말의 적지 않은 부분이 비슷한 내용이고, 선율의 골격도 전라도외 경상도·강원도·충청도 등 지역간의 차이가 별로 없다.
 
 
선율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에 의한다면, 대개 미·솔·라·시·도·레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것으로는 경상도 일부지역에서 회심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소리는 문학적인 면의 서사민요에 속하는 긴 노래말로 되어 있기도 하나, 선율은 지루하리만큼 슬픈 선율을 반복 사용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공주지방에서는 혼자 메기지 않고 4인의 합창으로 메기고, 이어서 모두가 받는 짝타령의 모습도 보이고 있다.

이 처럼 상여소리는 장례의식에 따르는 노래이다. ‘상여’란 망자(亡者)를 묘지까지 운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보통 10여명 내외의 청장년 남자들이 메고 장지(葬地)까지 간다. 이때는 여러 사람이 발걸음을 제대로 맞추어야 하는데 상여소리는 기능적으로 여러 상여꾼들이 발을 맞출 수 있게 도와준다.

먼저 선창자가 한 절을 부르면 상여를 메는 상여꾼들은 후렴구에 해당하는 뒷소리를 받는데, 뒷소리는 매번 같은 구절을 반복하는 지역도 있고, 선창자가 부른 사설의 대구를 이어 부르는 지역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여소리는 평지를 갈 때 부르는 소리, 가파른 언덕이나 산길을 올라갈 때 부르는 소리, 묘지에 당도하여 망자를 안장하고 무덤의 봉분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 등이 있는데 상여소리의 주종은 느리게 부르는 ‘긴소리’와 빠른 템포로 부르는 ‘자진소리’로 구분된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긴소리와 자진소리의 변형도 있다.

상여소리의 사설은 주로 사람이 태어나 죽는 자연섭리와 인생무상, 망자와의 이별을 슬퍼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망자의 가족을 위로하는 내용도 들어 있고, 효도를 권하는 사설도 적지 않다. 상여소리는 각 지역의 음악성을 가장 강하게 간직한 토속민요라고 볼 수 있다.
 
<시사상조신문(www.sisasangjo.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