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혼인의 역사

기사입력 2013.09.18 20:03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남녀가 부부관계를 맺는 행위를 결혼 혹은 혼인이라고 한다. 혼인은 국가나 종교 기관에 등록하는 절차를 통해, 법적 사회적으로 공인받을 때 완성된다. 이는 혼인이 남 녀의 단순한 성적 결합만이 아닌, 당사자의 성적, 심리 적, 경제적인 결합을 뜻하는 중요한 행위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의 기초적 구성단위인 가정, 가족을 형성 하는 단초가 되며, 나아가서는 종족보전의 주요기능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사회가 어떤 형태로든 혼인을 승인하고 이에 따른 법적 규제를 마련해왔다. 그러나 그 형 태는 인류 역사의 발전 단계 및 각 사회의 경제적, 종교 적, 민족적 요소에 따라 다르다.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인 L.H 모건은 고대사회(1877)라는 책을 통해 최초로 인간의 혼인 제도의 변천 을 과학적으로 밝혔다. 모건은 난혼과 집단혼에서 혈연 가족과 푸날루아혼, 그리고 대우혼을 거쳐, 오늘날의 일 부일처제로 변천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을 바탕으로 혼인의 역사를 짚어보기로 한다.
     
    혈연가족과 프날루아
     
    모건은 집단혼 이후 혈연가족으로 나아갔다고 주장했다. 혈연가족이란 혼인집단이 세대별로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집단내의 모든 아버지와 어머니 세대는 자녀 세대의 모든 부모가 되어,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의 세대간 성행위가 금지된 형태를 말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부모와 자녀의 성 관계뿐만 아니라, 형제와 자매간의 성교를 배제하는 푸날루아혼 형태가 등장하게 된다. 푸날루아란 친근한 동료 동반자란 뜻으로 하와이 원주민의 언어이다.
     
    모건이 만난 하와이의 한 원주민 종족은 가족의 모든 자매들이 공동의 남편에 공동 아내가 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형제는 그들의 공동의 남편에서 배제되었다.
     
    남자들은 다른 가족에서 자신의 아내를 만났고, 다른 가족 출신의 남편들은 서로를 푸날루아 즉, 친근한 동료 혹은 동반자라고 불렀다.
     
    친자매 형제간의 성관계를 금지하는 푸날루아 가족의 규율은 사촌형제 자매간으로 사촌자매형제간에서 먼 촌수의 방계친족으로 확대되어 가면서 방대한 규모에서의 성관계가 금지되는 집단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바로 씨족이다.
     
    대우혼과 거제규제에 따른 혼인형태
     
    씨족이 형성되고 혈족간의 혼인이 금지되면서 대우 관계가 분명한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이는 혼인할 수 있는 집단범위가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졌고, 급기야 푸날루아혼을 누르고 대우혼이 보편적인 형태를 누리게 된다. 그런데 이때부터 새로운 문제가 등장하게 되었 다.
     
    수렵과 채집이 주된 경제활동이었던 원시시대 초기에는 같은 무리내에서 혼인하였다. 따라서 혼사가 어디인가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농사가 시작되고, 씨족내에서의 혼인이 금지되어 타 씨족에서 배우자를 맞이하게 되자, 혼사를 어디에 둘 것인가 가 문제시 되었다.
     
    농사가 시작되었던 시기, 농사의 주요 담당자는 여성이었다. 채집과 수렵의 유습은 남아 있었고, 채집은 여전히 여성이, 수렵은 남성이 담당했다. 수렵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농사와 채집이 식량을 공급하는 주된 원천이었다.
     
    때문에 집단내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의 경제활동 이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게다가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누구인지를 더 확실히 알 수 있었으므로, 자식은 어머니 씨족에 소속되었다. 한마디로 여성을 중심으로 가족이 편제되는 모계사회였다.
     
    남성들은 아내의 씨족에 마련된 혼사에서 살거나, 밤에 찾아들곤 했다. 사위를 처가로 데려오는 처가거주혼의 관습이 생겨난 것이다. 처가거주혼의 유습은 지금도 발견되는데, 바로 데릴사위제이다.
     
    부계 사회의 성립과 일부일처제
     
    농경과 목축의 결합하고 농사도구가 발달되면서, 농사는 더 이상 여성의 몫으로만 남아 있지 않았다. 가축을 다루고, 땅을 깊게 가는 일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적합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씨족내의 경제활동은 점차 남성 위주로 재편되게 되었다. 더구나 농경과 목축의 결합과 농기구의 발달로 인해 잉여생산물이 발생했다.
     
    이젠 먹고 남은 것을 누가 소유하게 되는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었고, 당연히 생산에서 주된 역할을 하는 자, 즉 남성이 잉여생산물을 소유하게 되면서 남성의 힘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모계사회는 점차 부계사회로 이행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혼인 형태도 변모하게 된 것이다.
    backward top home